오늘은 음악에 반응하는 효과를 적용해보려고 한다.
1. 컴포지션 세팅
file / new composition / duration은 음악 길이보다 길게 지정 해야 함
2. 음악 컷 편집
음악을 프로젝트 패널에 드래그해서 가져오기/ 타임패널로 음원 드래그 해서 가져오기
비트가 좋은 부분을 부분적으로 선택하여 자른다
단축기 alt + [ (앞쪽 자르기) , alt+ ] (뒤쪽 자르기)
3. keyframe assistant / convert audio to keyframes / audio
audio 아래 화살표를 활성화하면 waveform이 있음
파형을 키값으로 변환하려고 함
레이어 클릭 후/ 우클릭/ keyframe assistant/convert audio to keyframes/ audio레이어가 생성됨
4. both channel
단축기 U 입력하면 키가 생성된다.
스테레오 음악에 왼쪽 귀( left channel ), 오른쪽 귀( right channel )에 들리는 음이다. / delete 하고/
오늘은 both channel 만 이용하려고 한다.
5. 그래프 아이콘
both channel/ slide 클릭/ 그래프 아이콘 클릭/
6. both channel
"+" 키로 확대하고 /파형 위에서 우클릭 edit value graph 선택/ 파형에 마우스 가져다 대면 노란색 값이 뜬다.
(제일 낮은음은 0 제일 높은음은 51 정도 됨)
그래프 아이콘을 닫고 나간다.
파형이 그래프 모양에서 다르게 보임
7. text
비트에 반응할 텍스트를 하나 만들려고 한다.
타임라인 레이어 아래 빈 공간 우클릭/ new / text/ beat 입력/ 단축기 ctrl+alt+home 또는 앵커 포인트 아이콘(앵커 포인트를 가운데로 보내줌)
align 탭에서 가로 세로 중앙 정렬해줌
단축기 S(scale) 열어주고/ 스케일과 비트를 연동해준다.
both channel/ slide/스톱워치+ alt 누른 채로 클릭
바 아래 ease(value ,0,0,0,0) 입력
첫 번째 0-소리의 낮은 값
두 번째 0-소리의 높은 값
세 번째 0-바꾸어줄 낮은 값
네 번째 0-바꾸어줄 높은 값
첫 번째, 두 번째 값 바탕으로 수치를 세 번째, 네 번째 값을 바꾸겠다는 뜻이다.
ease(value ,0,45,0,100) 입력 / ---/ 그래프 파형을 보며 높은 곳이 100으로 변환된 것을 볼 수 있다.
그래프 아이콘을 끈다.
스케일과 연동해보려고 한다.
beat 텍스트의 스톱워치를 +alt 클릭/ 그 자리의 드래그/ 아래쪽 both channels / slide에 연결해줌
그러면 스케일이 아래 슬라이드 값을 따라간다. /preview/ 음악에 맞춰 스케일이 0에서 100까지 왔다 갔다 한다.
스케일을 좀 더 크게 조절해 주려고 할 때,
윗줄 제일 뒤에 세미콜론; 하나 앞쪽으로 와서 곱하기(*) 2를 써주려고 한다.
*2를 해 주면 좀 전보다 2배 더 큰 스케일로 조정된다.
*2를 지우고 +30을 적으면
스케일이 최소 30에서 130까지 변한다.
여기에 ease(value ,0,30,0,130) 이렇게 입력해도 같이 적용된다. -나중에 다른 곳에도 연동시키기 위해 ease(value ,0,45,0,100) 사용
beat 텍스트 레이어 선택 / 단축기 T(opacity)/
오퍼 시티 스톱워치를 +alt 클릭
그 자리의 빙글 모양을 드래그/ 아래쪽 both channels / slide에 연결해줌
preview/투명도도 0에서 100으로 왔다 갔다 한다.
8. effects/ fill
화살표 클릭/ effects클릭
이펙트 창에서 fill검색/컬러 선택
9. effects/ hue, saturation
이펙트 창에서 hue색조/saturation채도 검색
colorrize체크/ colorrize hue 드래그해서 수치 바꿈/ colorrize hue 앞 스톱워치 alt+클릭/
colorrize hue 그 자리의 드래그/ 아래쪽 both channels / slide에 연결해줌
preview/그러면 0에서 100까지만 색깔이 들어간다.
그러나 0도에서 360도 모두 돌아서 모든 컬러를 나타내도록 수식을 *3.6 입력한다.
그러면 최대가 100이니 360이 된다. 채도가 좀 낮으면 colorrize satuation을 75로 높여준다.
10. 익스프레션 수정
소리가 작을 때 투명도가 0까지 가버리면 사라져 버려서 opacity 수식에 +50 해줘서 소리가 제일 작을 때도 (불투명도) opacity가 50을 유지하도록 해야 함
11. 큰소리(고음)에만 반응
작업할 때 복잡하지 않도록 화살표 잠가주고/ 레이어에 네이밍 해 준다. "모든음" 네이밍/ ctrl+D(레이어 복사)/단축기 UU입력(수식 연결해준 익스프레션이 나옮) /큰소리(고음)에만 반응하도록 수정하려고 함
모든 음 2/effects/both channel/slider/클릭/0에서 45까지 기준으로 삼았는데 그래프 아이콘 클릭 모드로 다시 들어가서 값 확인/ "+" 확대해서 그래프 확인/뾰족 올라간 라인이 대략 40 정도인 것 같음/ 고음 부분만 반응하는 수식을 만들어 보려고 한다. /그래프 아이콘 비활성 해주고 / (0.45.0.100)을 (30.45.0.100) 변경/ 그러면 30에서 45가는 비율만큼 값이 0에서 100으로 변하게 된다.
이 값을 연동할 텍스트 레이어 하나를 만들려고 한다. 기존 beat텍스트 선택/ ctrl+D /beat 2 텍스트 레이어 새로 하나 만들어 주고 /넣었던 fill, hue saturation 효과 delete/
단축기 UU입력(수식 연결해준 익스프레션이 나옮)
그중에서 scale 연결해준 수식을 delete/수동으로 입력값에 드래그해서 화면 꽉 차게 스케일 크기 올려줌
마찬가지로 opacity에 연결된 수식도 delete /opacity의 alt+시계 모양 스톱워치 클릭(espression opacity)/그 자리 빙글빙글 아이콘 드래그해서/ 새로 복제해서 만든 레이어(모든음2)slider에 빙글빙글아이콘 연결해줌/(모든 음 2)는 (높은음)으로 이름 rename 해줌
높은음에 연결된 텍스트 opacity변화/ preview(30 이상 고음일 때만 반응해서 나타남
12. 중간음에만 반응
중간음 만들어 보려고 한다. 복잡해서 레이어 화살표 모두 닫아주고/ 높은음 레이어 선택/ ctrl+D 하나 더 복제 (중 간음이라고) rename/
단축기 UU입력(수식 연결해준 익스프레션이 나옮)/
이번에는 중간음에 반응하도록 수식어를(30.45.0.100) (0.30.0.100-0에서 30을 0에서 100으로 바꿔준다)
컴포지션 빈 곳을 클릭해서 모든 레이어에 비활성 (그래야지 shape layer가 생김)/상단 툴바에서 원형 툴 선택/ 가운데에서 ctrl+shift+드래그 정원을 그리기/fill 없음/ stroke 8
shape layer의 스케일 조정하려 한다. shape layer/ 단축기 S/ 스톱워치+alt클릭(익스프레션 스케일)/scale 수치 아래의 빙글빙글 아이콘을중간음 slider에드래그
세미클론; 앞쪽에 *2; 입력해서 크기를 키워줌
링이 한 개이면 심심하니까 하나 더 줘서 효과를 극대화해보려 함/ ctrl+D 복제 shape layer2 /단축기 UU입력(수식 연결해준 익스프레션이 나옮)/적혀있는 수식 delete
이번에는 중간음이 아니라 처음 만든 모든음에 연결해주려고 함
모든음을 열어주고/ shape layer2 scale 스톱워치+alt 클릭/ 빙글빙글아이콘 드래그/ 모든음 slider에 연결
조금 작은 듯하여 shape layer2 scale의 수식 값 세미클론; 앞에 *2; 입력한다.
쉐이프 링 하나는 점선으로 바꾸려고 한다.
shape layer1 화살표를+ ctrl 누르고 다 열어보면 아래쪽에 dashes/ +아이콘 2번 클릭(dash와 gap 옵션을 만들어준다. )
dash2.0와 gap27.0으로 조절/ preview
13. 영상 속도에 적용
모든음 레이어만 놔두고 영상 끌어오기/ 타임 패널에도 끌어오기 /오른 검색에 timewarpe 입력/더블클릭 왼쪽 effect controls / speed/ alt+스톱워치 클릭/ 스피드 수치 아래 빙글빙글 아이콘 선택 / 모든음 / both channel / slider에 끌어당김
0 세서 45 값을 0에서 100으로 변환하는 식이였음
속도는 기본값이 100이기 때문에 세 번째 값을 0이 아닌 100으로 바꿔주고 큰 비트에서는 30배속 올려주도록 네 번째 값을 3000으로 바꾸어주려고 한다. (0.45.100.3000)
preview/비트에 맞춰서 영상이 배속되면서 진행됨
14. 출력
메뉴바/파일/ export/add to adove media encoder queue/ 또는 단축기 ctrl +alt+ M
adove media encode 실행/ 대기열에 출력할 영상이 있음/ H264선택
퀵타임 포맷은 확장자가 MOV 라면
H.264 포맷은 MP4확장자를 가지게 됨
이름 클릭
사전 설정 활성화/youtube1080 full hd/확인하면 인코더 창으로 다시 넘어감
저장 경로 지정 후/ 초록 삼각형 클릭
'일과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에프터이펙트] 액체효과(#물방울효과#액체텍스트) (0) | 2021.09.28 |
---|---|
[에프터이펙트] 잘리는 텍스트효과(#잘리는텍스트#화면이잘리는효과) (0) | 2021.09.27 |
[에프터이펙트] 모션 그래픽(#팡터지는효과# 모션그래픽#별,삼각형모션) (0) | 2021.09.23 |
[에프터이펙트] 글자 애니메이션(#텍스트 색 #페이드인#텍스트컬러체인지) (0) | 2021.09.23 |
[에프터이펙트] 10분만에 완성하는 화면전환(#화면전환#10분완성) (0) | 2021.09.2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