오늘은 좋은 카메라가 없어도 차가운 영상을 좀 더 따뜻한 영상으로, 또 회상씬처럼 컬러가 흑백으로 전환되는 여러 가지 기능을 적용시키는 방법을 알아보려고 한다.
프로젝트 패널에 짧은 영상 하나 가져와서 당기기/ 프로젝트 패널 빈공간 마우스 우클릭/new item(새 항목)/adjustment(조정 레이어)/
1920x1080 확인/프로젝트에 조정 레이어 생김/ 타임패널로 조정레이어 만든 것 끌어당기기
타임 패널의 조정 레이어를 클릭(중요-레이어를 클릭해야 활성화가 됨)/ 색상 클릭/lumrtri범위 클릭
*영상의 색상 정보를 볼 수 있음
오른쪽 lumrtri color(루미 터리 색상)/ basic correction (기본 교정)
밝은영역 옆 바를 내리고/ 어두운 영역을 약간 올려줌/ 위에 바를 벗어나서 흰색 범위를 상단에서 내림/contrast(대비) 조금 올려서 대비를 올려준다. (부드러운 이미지를 좀 선명하게 바꿔줌)
temperature(색온도) 왼쪽으로 갈수록 이미지 톤이 차가워지고 오른쪽으로 갈수록 이미지 톤이 따뜻해짐-이렇게 조정할 때 루미 트리 스콥프도 왼쪽으로 갈수록 파란색이 올라오고 오른쪽으로 갈수록 빨강색이 올라온다.
Tint(색조)는 오른쪽으로 가면 자주색 기운이 올라오고 왼쪽으로 가면 초록색 기운이 올라온다.
맨 위 basic correction (기본 교정) 옆 사각형 체크를 활성화하면 적용 후 활성화를 끄면 적용 전의 모습을 볼 수 있음
컬러 영상을 흑백 영상으로 만드는 방법
프로젝트 패널/ effect(효과)/ video effect(비디오효과)/ image control(이미지 제어)/black&white(흑백)/타임 패널의 데이터 안으로(위가 아님!!) 끌어당김/컬러가-------> 흑백으로 바뀐 것을 볼 수 있다.
다시 컬러로 돌아가고 싶을째는 ctrl+z=실행 취소 또는
effect control(효과 제어) 패널/ black&white(흑백)/ fx(효과 적용"파랑", 미적용 설정 버튼"사선")/완전히 없애고 싶으면 fx를 우클릭해서 delete(삭제)
컬러 영상을 흑백으로 바꿨다가 다시 흑백을 컬러로 바꾸는 방법
프로젝트 패널/ effect(효과)/ video effect(비디오 효과)/ image control(이미지 제어)/tint(색조)/
effect control(효과 제어) 패널/ amount to tint (농도 조절량)-컬러 <-----> 흑백 왔다 갔다 전환 기능이다.
amount to tint (농도 조절량) 앞의 스톱워치 클릭/키프레임이 하나 생긴 걸 볼 수 있음/ 인디케이트 옮겨서 amount to tint (농도 조절량)-0%(컬러) 그러면 또 하나의 키프레임이 생김
다이아몬드 사이를 벌려 주면 흑백 <-----> 컬러 왔다 갔다 전환 기능이 더 자연스럽게 넘어간다.
컬러 <-----> 흑백으로 다시 바꾸려고 한다.
인디케이트를 옮기고 다시 mount to tint (농도 조절량) 100% 입력(흑백)
키프레임을 두 개 드래그해서 복사 붙여 넣기 하거나 alt+드래그하면 흑백(100%)<-----> 컬러(0%)<-----> 흑백(100%)<-----> 컬러(0%) 이러한 효과도 줄 수 있다.
'일과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프리미어 기초] 나레이션 넣기 ,더빙하기, 노이즈제거 (#나레이션#더빙#목소리녹음#잡음제거#노이즈제거) (0) | 2021.09.09 |
---|---|
[프리미어 기초] 테두리선 애니메이션(#원#사각#타원애니메이션) (0) | 2021.09.08 |
[프리미어 기초] 슬라이드 텍스트 영상만들기(#슬라이드자막#마스크# 슬라이드선) (0) | 2021.09.04 |
[프리미어 기초] ⑥ #화면 확대#화면축소 기능#Full HD (0) | 2021.09.03 |
[프리미어 기초 ] ⑤ 엔딩크레딧 자막만들기(#흘러가는 자막#엔딩크레딧) (0) | 2021.09.01 |